top of page

“The Vine and the Branches” 

(Text: : John 15:1-8)

Rev. Dr. Nam Ok Yoo

 Korean Translation Below 

 

In Gospel stories, there are several images which Jesus self-identifies with: Bread, Light, Door, Shepherd, Life, Way, Truth, and Vine. These images point to deep theological meanings and indicate certain relationships—with God, with Jesus, and with each other. Last week, we heard Jesus proclaim,

“I am the good shepherd.” Jesus is the good shepherd, and we are his sheep. Shepherd Jesus keeps us, takes care of us, and lays down his life for us. This is why we are not so discouraged amidst our pain and struggle; we know that our shepherd Jesus hears our outcry.

 

This morning, we heard another powerful metaphor about Jesus: the True Vine. “I am the true vine; you are the branches. Abide in me as I abide in you,” the gospel text says. The word 'you' in these passages is plural, so it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it as referring to our faith community, our church. The vine symbolizes Christ, and the branches represent the Christians or congregations, where the people of God are joined together with Christ.

 

The backdrop of the text reflects the situation faced by the author of the Gospel of John, likely written in the late 1st century or early 2nd century. The author was concerned about his own faith community, which experienced severe persecution, including excommunication from the synagogue—their place of worship—due to their belief in Jesus. This persecution led to a weakening of solidarity among community members after Jesus' departure. Therefore, the core theme emphasizes maintaining an enduring relationship with Jesus for each disciple and the joyous outcome of this relationship. The concept of abiding in Jesus is central, representing a close bond with the living Jesus, which is crucial for the community's spiritual resilience and cohesion.

 

Then, what does it mean for us to abide in Jesus? It means that Jesus and we are interconnected, like fruit that cannot be produced if it is not attached to the branch. There are many delicious kinds of fruit—apples, kiwis, mangoes, pineapples, blueberries, and the list goes on. Fruit trees and bushes seem to bear sweet and juicy fruit almost effortlessly. However, even the most beautiful apple tree branch has no hope of bearing fruit if it is disconnected from the tree. The same applies to us.

 

Today's text reminds us that if we abide in Jesus and he abides in us, we will produce much fruit. Christ and Christians are united, just as the vine and branches are in unity. The vine and branches are so organically united that they are one—the branches are nothing other than extensions of the vine, just as the vine is the origin of the branches. This kind of organic unity between Christ and his people is possible because of love. It is love that unites them into one.

 

I will tell you a story. This is the story of a Korean man who survived the Korean War. He is sharing his own story to illustrate the love between Jesus and us. “Your life is our life. If you die, we all die together.”  This remark was made by his mother, and he remembers it as an expression of unity and love—a oneness with his mother in that moment.

 

So, the story begins like this: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he hid underground for three months to avoid being drafted into the Red North Korean Army. His mother brought him food late in the evenings. One evening, she came in and sat right next to him. Seeing that she was trembling with fear, he knew something was wrong.

 

““Please tell me. What is it?”, he asked impatiently. When she held him tight and whispered in his ear, her entire body was shaking. “Yesterday, your friend who was hiding in a cave like you was discovered by the police. This afternoon, he was executed in front of the townspeople. Everyone saw it. His parents were violently tortured by the whip in front of the townspeople until they became unconscious and then died. It was so terrible that I could not bear to look. They were whipped until they died because they were responsible for hiding their son underground.”

 

When he heard this, he was ready to run away. “Let me escape from here as far as I can. Or let me volunteer to join the Red Army tomorrow so that you don’t have to face this fate,” he said. His mother held him even tighter. Her voice was urgent. “No, your life is also our life. If you die, we all die together,” she said. He saw her tears shining in the darkness like diamonds. It was an expression of unity in love; He experienced a profound oneness with his mother in that moment. Just as the vine extends to its branches, so did his mother's whole self-extend to him. It was her love that united us.”

 

Through his heartfelt personal life story, he explains that his mother's love is the fruit of abiding in Christ. The fruit represents the outward manifestation of our inner unity with Christ. Through the fruit, we prove ourselves to be disciples of Christ. The fruit of love brings joy.
 

But here is the thing. Although there are many branches, not all of them bear fruit for a variety of reasons. Therefore, some of them wither and need to be pruned out. This introduces the paradox of pruning and removing: the vine-grower must prune and trim some branches to make the vine bear more fruit. Similarly, this is what our community of faith needs—God tenderly prunes us to make us fruitful, productive, and thriving. It is challenging work for the vine-grower, but ultimately worth it.

Did you know that the Greek word for prune, ‘kathairo’ shares the same root as the word used for Jesus' foot washing and cleansing in John 13:1-10? This tells that the term ‘prune’ does not imply a harsh cut-off or removal, but rather carries the meaning of cleansing, making pure, and freeing from blemishes or shame - similar to how Jesus gently removed dust from his disciples’ feet and cleansed them. This illustrates the way God cares for us, guides us, and helps us grow.

So, I would say we don’t need to perceive Jesus’ words - like ‘prune’ or ‘remove’ as threats. Instead, his words are a promise: ‘I am the vine; you are the branches. If you remain in me and I in you, you will bear much fruit.’ The vine carries water and nutrients from the roots to the branches and leaves. In return, the branches transport sugars downward from the leaves, through the vine, into the roots. This mutual exchange sustains us, nourishes us, and enables us to bear fruit. This is how we abide in Jesus and Jesus in us, resulting in abundant fruitfulness and a thriving community.  

 

If we want to be a thriving community, we must ensure that we are united with the vine. We should make an effort to assess our connection with God, Jesus, and one another. We should keep on encouraging each other, helping each other, and being patient with each other while removing ill intentions, indifference, and division. Then we will bear fruit, abiding in Jesus, as a faith community. As long as we remain attached to the vine, we can produce fruit. That is the promise of Jesus. Just as a vine doesn't bear apples or cucumbers, we bear grapes - the fruit of Jesus.

 

Jesus is the true vine, and we are the branches. The divine love that flows from God into Christ also flows into our faith community gathered around Christ. Through our connection to the vine of life, our faith community is infused with the love that flowed through Christ. Because of this profound connection rooted in love, we bear the fruit of joy - the fruit of Jesus. Thanks be to God for the fruit of joy. Amen.

“참 포도나무와 가지” 

(본문: 요한복음 15장 1-8절) ​

​유남옥 목사

복음서에는 빵, 빛, 문, 목자, 생명, 길, 진리, 포도나무 등 예수님 자신이 스스로를 칭하신 몇 가지 이미지가 있는데, 이 이미지는 깊은 신학적인 의미를 지니며, 이는 특정한 관계, 즉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 예수님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지난 주에 우리는 예수님께서 “나는 선한 목자라”하고 선포하심을 들었습니다. 예수님은 선한 목자이시고 우리는 그의 양입니다. 목자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지키시고 돌보시며 우리를 위해 목숨을 버리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고통과 역경 속에서도 그렇게 낙심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목자 예수님께서 우리의 부르짖음을 들으신다는 것을 압니다.
 
오늘 예수님이 자기 자신을 포도나무에 비유하실 때, 우리는 목자이신 하나님 안에서와 같은 위로와 평안을 찾습니다. “나는 참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내 안에 거하라 나도 너희 안에 거하리라.” 이 구절에서 ‘너희’는 2인칭 단수가 아닌 복수형입니다. 따라서, 이 말씀이 우리의 전체 신앙 공동체인 교회를 대상으로 이야기 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이 본문의 배경을 보자면, 요한복음의 저자는 당시 자신이 처해 있던 요한공동체를 위해서 이 복음서를 쓰고 있습니다. 당시 요한공동체의 일부는 예수에 대한 믿음 때문에 유대교 회당에서 파문이 되는 등 심각한 박해를 당했고, 그래서 저자는 예수님의 승천 후, 요한공동체 구성원의 연대가 약해질 것을 걱정했습니다. 그래서 이 본문의 핵심 주제는 커뮤니티의 예수와의 지속적인 관계와, 이 관계의 결과로 나타날 기쁨입니다. 살아 계신 예수님과의 긴밀한 유대는 예수님 안에 거함으로 표현되는 핵심 개념이며 이 본문에서의 핵심 용어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예수 안에 거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가지에 붙어 있지 않으면 열매가 맺힐 수 없듯, 예수님과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사과, 파인애플, 블루베리 등 맛있는 종류의 과일이 많이 있지만, 가지가 본체에서 떨어지면 열매를 맺을 희망이 없습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예수 안에 거하고 그가 우리 안에 거하면 우리는 많은 열매를 맺을 것입니다. 포도나무와 가지가 하나이듯이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도 하나입니다. 포도나무와 가지는 유기적으로 연합되어 있는 단일체입니다. 포도나무가 가지의 근원이듯이, 가지는 포도나무의 연장일 뿐입니다. 그리스도와 그의 백성 사이의 이러한 유기적인 연합은 사랑 때문에 가능합니다. 그 둘을 하나로 묶는 것은 사랑입니다.
 
여러분께 드려드릴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한국전쟁에서 살아남은 한 한국인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나중에 미국으로 건너가 신학자요 교수가 되었습니다.  그는 예수님과 크리스천 사이의 사랑을 어머니가 본인에게 해 준, “네 삶은 우리 모두의 삶이야. 네가 죽는 건 우리도 다 죽는다는 말이야.”라는 말씀을 어머니와의 합일의 표현으로 기억합니다.
 
이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나는 적군에 징집되지 않기 위해 3개월 동안 지하 땅굴에 숨어 지냈다. 어머니는 저녁 늦게 나에게 음식을 가져다 주셨다. 그러넫, 어느 날 저녁, 어머니가 두려움에 떨고 있는 것을 보고 나는 즉시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뭐예요, 어머니. 말씀해 주세요.” 나는 참을성 없이 물었다. 어머니는 나를 꽉 껴 안으시고는 온몸을 떨면서 내 귀에 속삭이셨다. “어제 너처럼 동굴에 숨어 있던 네 친구가 경찰에 발견됐어. 그리고 그 친구는 오늘 오후에 마을 사람들 앞에서 처형당했어. 우리 모두가 그것을 봤지. 그 친구 부모는 마을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채찍으로 심하게 고문을 당해 의식을 잃은 뒤 사망했지. 나는 그게 너무 끔찍해서 차마 쳐다볼 수가 없었어.”
 
그 말을 듣는 순간 나는 도망칠 준비가 되었다. 나는 말했다. “어머니, 저 여기서 탈출하겠어요. 그게 아니면 가족이 이런 운명에 이르지 않도록 내일 북한 군대에 자원할게요.” 내가 말했다. 어머니는 나를 꼬옥 붙잡으시고 다급히 말씀하셨다. “네 삶은 우리의 삶이야. 네가 죽는 건 우리가 다 죽는 거야.” 나는 어머니의 눈물이 어둠 속에서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것을 보았다. 그것은 사랑 안에서의 연합의 표현이었다. 나는 그 순간 어머니와 깊은 하나됨을 경험했다. 포도나무가 가지까지 뻗어나가듯, 어머니의 온전한 사랑이 나에게로 뻗어 나왔다. 우리를 하나로 묶은 것은 어머니의 사랑이었다.”
 
이 진심이 담긴 이야기를 통해 저자는 어머니의 사랑은 그리스도로부터 왔고, 그리스도 안의 '거함'의 열매임을 설명합니다. 열매는 우리와 그리스도와의 내적 연합이 외적으로 표현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열매를 통해 우리는 그리스도의 제자임을 증명합니다. 사랑의 열매는 기쁨을 가져다 줍니다.
 
하지만 모든 가지가 다 포도나무인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모두 열매를 맺는 것은 아닙니다. 그들 중 일부는 시들어 잘라내 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더 많은 열매를 위해 가지치기라는 역설이 존재합니다. 역설적이게도 포도나무는 가지를 쳐주기도 하고 다듬는 일을 해야만 더 많은 열매가 맺습니다. 마찬가지로, 이것이 우리 신앙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풍요롭고, 생산적이며, 번성하게 하시기 위해 부드럽게 가지치기를 하십니다. 포도나무 가지나 포도나무 재배자에게는 가지를 쳐내는 일이 힘든 일이 될 수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그런데, ‘가지치다’라는 그리스어인 ‘카타이로’ (kathairo)가 요한복음 13장  1절에서 10절에 나오는 제자들의 세족식에서 사용된 ‘씻다’라는 낱말과 동일한 어근을 지닌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다시 말하면, 그리스어 원래의 ‘가지치기’라는 말은 가혹한 자르기나 제거를 의미하기 보다는 예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으실 때 발의 먼지를 털어내고 부드럽고 깨끗하게 하실 때처럼, 깨끗하게 하고 정결하게 하며 흠이나 수치심에서 벗어나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바로 그것은 하나님이 우리를 돌보시고, 인도하시고, 성장시키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저는 예수님이 말씀하신 ‘가지치다’는 낱말이나 그와 같은 그리스어 어근 변형꼴인 ‘제거하다’라는 낱말을 우리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이지 말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오히려 예수님이 하신 말씀은 우리에 대한 약속입니다. “나는 참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니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 있으면 너희는 많은 과실을 맺나니.” 포도나무는 물과 영양분을 뿌리로부터 가져와서 가지와 잎으로 운반합니다. 가지는 나무 덩굴을 통해 설탕을 잎에서 뿌리로 운반합니다. 그것은 생존과 영양, 그리고 열매를 맺기 위한 상호 교환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예수님 안에 거하고 우리 안에 예수님이 거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많은 열매를 맺습니다. 우리가 번성하는 공동체가 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포도나무이신 예수와 연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 예수님, 그리고 우리 서로와의 관계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악의와 무관심과 분열을 없애고, 서로 격려하고, 도우며, 인내해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믿음의 공동체로서 예수님 안에 거하면서 열매를 맺게 될 것입니다. 우리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는 한 우리는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그것이 예수님의 약속입니다. 포도나무에 사과나 오이가 열리지 않듯이 우리도 예수님의 열매인 포도를 맺습니다.
예수님은 참 포도나무이고 우리는 가지입니다. 하나님으로부터 와서 그리스도로 흘러 들어간 사랑의 힘은 그리스도의 주위에 모여 드는 우리 믿음의 공동체로도 흘러옵니다. 생명 되신 포도나무와의 이 연합을 통해 우리 믿음의 공동체는 하나님의 사랑의 에너지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랑의 연합으로 인해 우리는 예수님이 주신 기쁨의 열매를 맺습니다. 기쁨의 열매를 허락하시는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아멘.   

Red Grape Vines_edited.jpg
bottom of page